Posted on 2 Comments

OS X Mountain Lion에 Git Server 설정하기

인터넷에 OS X에 git server를 설정하는 수많은 글이 있었지만 나에게 도움이 되는 글은 하나도 없었다. Snow Leopard 시절에는 먹혔겠지만 Mountain Lion까지 버전이 올라간 지금, 옛 지식은 먹히지 않았다. 그래서 외국 사이트를 돌아다니며 몇일동안 삽질하다가 드디어 git server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Part 1. git 설치하기
OS X Mountain Lion에서는 이상하게도 git이 기본 프로그램에서 사라졌다. 하지만 소정의 절차를 거치면 다시 Lion에서와 같이 git을 사용할 수 있다.
  1. Mac App Store에 들어가서 XCode를 다운로드/설치한다.
  2. XCode를 실행한 후, command + ,(comma)를 누른다.
  3. ‘Downloads’ 탭에서 Command Line Tools를 다운로드한다.
  4. 터미널에서 git을 쳐보면 git이 설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Part 2. git server 전용 사용자 만들기
Git repository를 넣는 폴더를 따로 관리하는 데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git repository를 접근하는 사용자를 따로 만드는 것이 가장 편하다. 사용자를 새로 만들면 홈 폴더도 새로 생기기 때문!
  1. ‘시스템 환경설정 App > 사용자 및 그룹’으로 들어가서 새로운 사용자 git을 만든다. 이 때 웬만하면 일반 사용자로 등록해준다.
  2. ‘시스템 환경설정 App > 공유’로 들어가서 ‘원격 로그인’에 체크해준다.
  3. 그 후 ‘다음 사용자만:’을 체크해주고, + 버튼을 눌러서 git 사용자를 추가해준다.
사실 이렇게만 설정하면 보안에 좋지 않다. 더욱 보안을 철저히 하기 위해서는 ssh password에 대해 별도의 설정을 더 해야 하지만… 나는 어차피 혼자 쓸 것이기 때문에 그냥 넘어가기로 했다.

Part 3. git remote repository 구축 및 동작 테스트
  1. git 사용자로 터미널에 들어간다. (ssh로 localhost 접속해도 되고 그냥 git 사용자로 로그인 한 후에 터미널을 켜도 된다.)
  2. $ mkdir newrepo.git
  3. $ cd newrepo.git
  4. $ git init –bare
  5. git이 설치된 다른 컴퓨터에서 터미널을 켠다. (Linux 혹은 OS X)
  6. $ git clone git@git_server_IP:newrepo.git

Posted on 2 Comments

OS X Mountain Lion 사용기

기다리고 기다리던, OS X Mountain Lion이 드디어 나왔습니다!

전체적으로 ‘가려운 것을 긁어준 업데이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제가 감명받은 부분들을 차근차근히 짚어볼게요!

1. 산돌네오고딕 적용

이건 말할 필요도 없죠! 산골네오고딕이 이번 산사자 버전부터 적용되면서 가독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2. Launchpad의 UI 개선

깜짝이야! Launchpad가 엄청난 UI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아이콘의 크기가 커지고, 검색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애플은 정말 등 가려운 부분을 잘 긁어주는 재능이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깨알같은 제 어플 홍보! 헤헤

3. 알림 센터와 더욱 편리해진 트위터 생활

알림 센터야말로 이번 산사자 업데이트의 핵심이죠! 짜잔!

이걸 어떻게 띄우나 참 궁금했는데, 트랙패드에서 오른쪽 가장자리 모서리 부분에서 두 손가락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밀면 됩니다! 정말 머리 좋은 분들이예요. 이런걸 어떻게 생각해냈는지.

매직 트랙패드에서는 그냥 오른쪽 끝에서부터 밀면 되지만, 맥북 에어의 경우에는 트랙패드 오른쪽 바깥에서 왼쪽으로 밀어야 합니다. 둘 사이에 미묘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D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알림 센터가 생기면서 가장 편해지는 것은 일정 관리도 아니고, 메신저도 아니고, 트위터입니다! 제가 트위터를 많이 하기 때문이죠! <<

트위터로 멘션이 오면 바로 이렇게 알림 창이 화면 오른쪽 위 구석에 나옵니다! 이제 유료화된 Growl 따위는 바이바이~

그리고 알림 센터 상단에 ‘트윗하려면 클릭’이 있어서 항시 트잉여를 누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요!

4. iCloud로 더욱 긴밀하게 연결되다!

애플이 iCloud로 과연 무슨 짓을 할까? 이번에는 제 속을 또다시 뒤집었네요.

예상치도 못했는데, ‘미리보기’에도 iCloud를 집어넣었습니다! ㄷㄷㄷ 논문이나 강의자료도 여기에 클라우드 동기화시키며 볼 수 있어서 좋겠군요! 야호!

그리고 텍스트 편집기도 iCloud가 됩니다! 뭐야 이거 무서워!

드디어 Pages도 iCloud가 됩니다! 아마 Keynote와 Numbers도 iCloud가 되겠죠. 저는 아마 Keynote iCloud를 주로 애용할 것 같네요. ㅎㅎ

그리고 미리 알림도 iCloud 대상입니다만, 저는 안 써서!!

메모도 iCloud됩니다! 야호!

그리고 메모 어플은 전체 화면으로 쭉 늘릴 수도 있습니다! 멋지네요! 야호!

… 하지만 전 에버노트를 쓰지요.

그리고 이제 XCode와 Eclipse까지 iCloud가 지원되면 완벽하겠군요. 저는 프로그래머니까요 헤헤

5. Safari의 비약적인 UI 개선

사파리도 UI가 비약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특히 웹 페이지 100% 크기에서 핀치 아웃 동작을 하면 이런 탭 이동 화면이 나오는게 가장 마음에 들었습니다! 드디어 트랙패드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겠네요.

그리고 탭의 가로폭도 화면의 1/n 만큼 차지하기 때문에 시원시원해보여서 좋네요. 그 외에 iCloud Tab이라던가… 소소한 기능이 있는데 아직 안 써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유 기능이 생겼는데, facebook이 없군요! facebook은 도대체 어디로 간겁니까, 애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