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Leave a comment

신형 맥 미니?

애플의 베어본 PC 라인업인 “맥 미니”가 “Late 2014” 버전을 이후로 신제품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애플 내부에서는 아이맥과 아이맥 프로 위주로 밀어주다보니, 맥 미니에는 많이 소홀한 느낌이에요.

작년 말에는 팀 쿡이 “우리는 맥 미니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말을 해서 신형 맥 미니가 나온다는 소문은 무성합니다.

분명 올해 안으로 아이폰, AirPods 등을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인 “AirPower”도 출시한다고 하는데, 이 제품의 출시 소식도 아직 없죠.

저는 이 둘을 합치면 어떨까 상상해보았습니다.

Intel Core-M이나 고성능 ARM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두께를 최소화하고, 포트는 요즘 대세에 맞춰서 USB-C 타입 4개. 심지어 USB-C 타입은 현재 맥북 프로 처럼 전원 공급을 받는 포트로도 쓸 수 있으니까, 포트는 이것만으로도 괜찮겠죠.

Posted on Leave a comment

애플 이벤트 “Spring Forward” 후기

1. 애플 TV

미국의 tving이라고 하는 HBO가 애플 TV로도 들어온다는데, 어쩌라고. 얼른 한국에 내놓기나 하라.

애플 TV가 $99 → $69로 내려갔으나, 여전히 한국에서 이걸 살 만한 메리트는 없다. 애플 TV는 가격 인하보다는 신형 라인업을 원했는데 아쉽다.

2. HealthKit

애플의 의료 서비스 프레임워크. 집중 관리가 필요한 당뇨병, 천식 같은 질병을 관리해주는 기능이 핵심으로 들어가 있다.

유명 의대와 산학협력을 함으로써 신뢰성도 확보했으니 전략은 좋은 것 같다. 프로그래밍에 약한 의사 선생님들이 쉽게 의료 앱을 만들 수 있게 했다는 것도 높이 평가할 만 하다.

이 분야에 대해서는 내가 잘 모르므로 패스.

3. 팬리스 맥북

macbook

인텔 코어 M을 달고, 아예 팬을 없애버린 맥북 신형. 팬을 없앤건 매우 환영할 만한 일이다. 게다가 12인치 레티나 디스플레이에 베젤도 확 줄었다. 키보드와 트랙패드도 확 갈아 엎었다. 경사로세 경사로세.

그와 함께 두께도 줄이고 무게도 1kg 이하로 내렸다. 색상도 스페이스 그레이, 골드가 추가되어 매우 예쁜 것 같다. 그러나…

가격이 왜 $1299부터 시작이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게다가 CPU 클럭을 0.1GHz 올리려면 $300 더 내야 하다니ㅋㅋㅋㅋㅋㅋㅋ 애플은 클럭을 내기 위해 크리스탈이 아니라 다이아몬드를 쓰나보다.

오히려 레티나 맥북 프로 신형이 더 좋아 보인다.

4. 애플 워치

apple_watch

한마디로 말 하면, LISA의 흑역사를 이을 수 있는 제품. 아니, 그 보다 더 심각하다. 적어도 LISA의 하드웨어 자체는 당대 최고였지만, 애플 워치를 뛰어넘는 스마트워치는 널려 있으니까.

작년에 디자인과 핵심 기능만 공개되었던 터라 대충은 알고 있었다. 가격만 괜찮다면 구입하려고 했다. 그러나…

애플 워치 스포츠 버전이 $349부터 시작하고 일반 버전이 $549부터 시작, 그리고 Edition이라고 하는건 $1000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배터리도 18시간 밖에 가지 않고, 삼성 기어 시리즈에 비하면 나은 기능이 뭐가 있는지 모르겠다.

애플이 어지간히 팔기 싫은가 보다.

추가

iOS 8.2로 업데이트하고 난 뒤에 “Apple Watch” 앱이 생겼는데, 너무 못 생겼다. 어떻게 앱 아이콘 마저 이렇게 생긴 건지…

Posted on Leave a comment

애플 워치와 스마트 워치의 과제

applewatch1

애플 워치 발표, 새로운 것은 없었습니다.
스펙이나 기능적인 면에서만 보면 오히려 삼성 기어 S보다도 못합니다. 기기 디자인은 모토 360이나 G워치에 비하면 한참 멀었습니다.

그럼에도 애플 워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보면 매력적입니다.
“그래, 삼성 기어 같은 스마트 워치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우리의 컨셉에 맞게 이런 저런 기능만 넣겠어”라는 자신감. 스마트 ‘워치’의 본질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정확한 컨셉을 잡아서 소비자들에게 납득할 만한 제품이 되었습니다.

applewatch3

이를 볼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시계 옆에 달아놓은 동그란 모양의 디지털 용두.
제가 지금 기어 핏을 사용하면서 가장 불편한 점이 바로, 좁아터진 화면에 사용하는 터치 동작입니다. 웨어러블 장치는 특히나 몸을 움직이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정확하게 손가락을 조준하는 것이 힘들어서, 터치만으로는 인터페이스를 모두 커버할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새로운 입력 장치가 인터페이스를 보조해줘야 하는데, 애플이 내놓은 답은 디지털 용두인 것입니다.

물론 디지털 용두가 완벽한 해답은 아닙니다. 여전히 스마트 워치를 사용할 때마다 사람의 두 손이 모두 봉인당해야 합니다. 스마트폰은 한 손만 가지고도 조작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너무나도 명백한 한계입니다. 아직 스마트폰에 비하면 사용에 제약이 너무 많습니다.

applewatch4

그 외에 애플 워치의 앱 UI는 수준급입니다. 그동안 아이폰, 아이패드 등을 만들어오면서 쌓아온 UI 방향을 잘 반영한 것 같습니다. 실사용 가능한 애플 워치가 나와야 알 수 있겠지만, 많은 고민의 흔적이 보입니다.

현재로서는 삼성 기어나 애플 워치나 둘 다 스마트 폰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고, 그저 스마트 폰의 확장 기기로 머무르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만 가지고 시장의 형세를 바꾸기는 어렵고, 기존 스마트폰 시장 점유를 재확인시켜주는 꼴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인터페이스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는 한,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 폰을 제치고 모바일 기기의 주류로 올라서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 자료 사진: Apple watch 소개 페이지

Posted on 3 Comments

갤럭시 탭 S LTE LGU+ 라우터 유심 사용하기

이번에 갤럭시 탭 S 8.4 LTE 버전을 홍콩에서 직접 수입했습니다.

일반적으로 갤럭시 탭 S LTE 버전은 KT와 SKT에서만 모바일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있습니다만, 저는 약간의 설정만 바꿔주어 LGU+에서도 LTE 데이터만 사용하고 있습니다.(전화/문자 불가)

물론 제가 시도해본 것은 LGU+ 라우터 회선으로, 다른 스마트폰 요금제로 개통된 회선에서도 가능할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추가 확인사항: LGU+ 데이터쉐어링 유심에도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제보가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LGU+ 전화 가능 회선에서 가능한 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갤럭시 탭 S LTE 버전 홍콩판(SM-T705, SM-T805)은 아래와 같이 6개 대역의 LTE-FDD 주파수를 지원합니다.

  • 20대역 800MHz
  • 5대역 850MHz: LGU+, SKT
  • 8대역 900 MHz: KT
  • 4대역 1.7GHz
  • 3대역 1.8GHz: SKT, KT
  • 1대역 2.1GHz: LGU+, SKT
  • 7대역 2.6 GHz: LGU+

즉, SKT는 3개 주파수 모두(1대역, 3대역, 5대역), KT는 2개 주파수(8대역, 13대역), LGU+는 3개 주파수 모두(1대역, 5대역, 7대역) 지원합니다. 이대로만 보면, 3사 유심 모두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막상 LGU+ 유심을 꽂아넣으면 네트워크를 찾고 있다는 메시지만 나오고, 모바일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기기의 모바일 네트워크 설정이 꼬여버려서 생기는 일입니다.

즉, LGU+에서 지원하는 통신 주파수만 활성화시키고, 나머지는 모두 비활성화시키면 LGU+ LTE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먼저 전화 앱에서 “*#2263#”를 입력하여, 서비스 모드를 띄웁니다.
image

2. 그러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요. [1] LTE BAND, [2] WCDMA BAND, [3] GSM BAND 순서로 들어갑니다.
image

3. 아래와 같이 [1] LTE B1, [3] LTE B5, [4] LTE B7만 활성화시켜주고, 나머지는 모두 비활성화시켜줍니다.
image

4. WCDMA BAND는 모두 필요 없으므로 [6] Clear UMTA band를 선택하여 모두 비활성화합니다.

image

5. 마지막으로 GSM BAND도 [5] Clear GSM band를 선택허여 모두 비활성화합니다.
image

6. 그 후 재부팅 몇 번 하면 LTE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image

실제로 LTE 속도를 테스트해보면, 다른 기기만큼 잘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전화/문자는 LGU+가 이 기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CDMA2000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