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갤럭시 탭 S 8.4 LTE 버전을 홍콩에서 직접 수입했습니다.
일반적으로 갤럭시 탭 S LTE 버전은 KT와 SKT에서만 모바일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있습니다만, 저는 약간의 설정만 바꿔주어 LGU+에서도 LTE 데이터만 사용하고 있습니다.(전화/문자 불가)
물론 제가 시도해본 것은 LGU+ 라우터 회선으로, 다른 스마트폰 요금제로 개통된 회선에서도 가능할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추가 확인사항: LGU+ 데이터쉐어링 유심에도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제보가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LGU+ 전화 가능 회선에서 가능한 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갤럭시 탭 S LTE 버전 홍콩판(SM-T705, SM-T805)은 아래와 같이 6개 대역의 LTE-FDD 주파수를 지원합니다.
- 20대역 800MHz
- 5대역 850MHz: LGU+, SKT
- 8대역 900 MHz: KT
- 4대역 1.7GHz
- 3대역 1.8GHz: SKT, KT
- 1대역 2.1GHz: LGU+, SKT
- 7대역 2.6 GHz: LGU+
즉, SKT는 3개 주파수 모두(1대역, 3대역, 5대역), KT는 2개 주파수(8대역, 13대역), LGU+는 3개 주파수 모두(1대역, 5대역, 7대역) 지원합니다. 이대로만 보면, 3사 유심 모두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막상 LGU+ 유심을 꽂아넣으면 네트워크를 찾고 있다는 메시지만 나오고, 모바일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기기의 모바일 네트워크 설정이 꼬여버려서 생기는 일입니다.
즉, LGU+에서 지원하는 통신 주파수만 활성화시키고, 나머지는 모두 비활성화시키면 LGU+ LTE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먼저 전화 앱에서 “*#2263#”를 입력하여, 서비스 모드를 띄웁니다.
2. 그러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요. [1] LTE BAND, [2] WCDMA BAND, [3] GSM BAND 순서로 들어갑니다.
3. 아래와 같이 [1] LTE B1, [3] LTE B5, [4] LTE B7만 활성화시켜주고, 나머지는 모두 비활성화시켜줍니다.
4. WCDMA BAND는 모두 필요 없으므로 [6] Clear UMTA band를 선택하여 모두 비활성화합니다.
5. 마지막으로 GSM BAND도 [5] Clear GSM band를 선택허여 모두 비활성화합니다.

6. 그 후 재부팅 몇 번 하면 LTE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실제로 LTE 속도를 테스트해보면, 다른 기기만큼 잘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전화/문자는 LGU+가 이 기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CDMA2000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